728x90
기업의 지불능력 범위내의 인건비 비율을 산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. 아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중요한 지표와 산정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:
- 매출 대비 인건비 비율:
- 매출 대비 인건비 비율은 매출액에 대한 인건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이 비율이 높을수록 인건비가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.
- 산정 방법: (총 인건비 / 총 매출) * 100
- 총 원가 대비 인건비 비율:
- 총 원가 대비 인건비 비율은 기업의 총 원가에 대한 인건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총 원가에 비해 얼마나 많은 부분이 인건비로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산정 방법: (총 인건비 / 총 원가) * 100
- EBITDA 대비 인건비 비율:
- EBITDA 대비 인건비 비율은 이자, 세금, 감가상각 등을 고려하지 않은 EBITDA에 대한 인건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이는 기업이 영업활동 수익을 통해 얼마나 많은 비용을 감당하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.
- 산정 방법: (총 인건비 / EBITDA) * 100
- 순이익 대비 인건비 비율:
- 순이익 대비 인건비 비율은 순이익에 대한 인건비의 비율을 나타냅니다.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산정 방법: (총 인건비 / 순이익) * 100
- 업계 평균 비교:
- 기업은 해당 업계의 평균 인건비 비율과 비교하여 자체 지불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. 업계 평균보다 높거나 낮은 비율은 기업의 경쟁력 및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산정된 비율은 기업의 특정 상황과 전략, 산업 구조 등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야 합니다. 또한, 기업은 인건비 관리를 통해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지불능력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728x90
'Contents > 인사 & 총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업의 지불 범위내에서 효율적인 인건비 산정방법 (0) | 2024.02.23 |
---|---|
KPI(Key Performance Indicator) 작성 꿀팁 (0) | 2024.02.23 |
상업등기의 절차 (0) | 2020.10.28 |
법인 고용유지지원금 휴업지원금 (0) | 2020.10.28 |
소독업체 (방역업체) 창업 신고 허가 기준 (2) | 2020.10.22 |